하나의 회의공간을 서로다른 회사가 사용하는데, 예약시스템으로 관리할 필요가 생겼다. 

예약시스템 관리하는 오픈소스를 찾아보았다.

회의내용등이 외부로 공개되는것을 원치 않아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설치형태 기준으로 찾아보기로 했다.

(구글캘린더 응용등은 배제)

1. Coworkers - 친숙한 java 기반의 회의실(자원) 예약시스템, 설치를 해봤으나 기능이 좀 미비하고, 중간에 오류가 발생함(아마도 설정이나 소스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해서 발생한게 아닌가 싶다.)

2. Booked - PHP로 개발된 예약시스템. 문서화 및 설치가이드가 잘되어 있는듯하여 이 제품으로 선택

 - 공식사이트 - https://www.bookedscheduler.com/

   ( 초기에는 사이트에서 다운로드를 지원했으나 3.0버전업 이후에 지원하지 않음. )

 - github에서 구버전(2.8.5) 다운로드 진행 : https://github.com/effgarces/BookedScheduler

 - 공식포럼 : https://forums.bookedscheduler.com/ 

 - 설치가이드 : 소스를 다운받으면 installation.md5에 영문으로 친절하게 가이드되어 있음

 

이후 어느순간 유료화 정책으로 변경되면서 소스다운로드가 사라졌다. 완전히 사라진건 아니고 숨겨졌다.

아래 github를 통해서 다운로드 해야한다. (22.05.01 updated)

https://github.com/effgarces/BookedScheduler

 

설치유형 : AWS EC2 개설해서 DB(MariaDB), Apache2.x로 직접 설치

설치순서 : 일반적인 APM설치의 과정을 거친다. 

 

1. MySQL(MariaDB)설치

2. Apache 설치

3. PHP설치

4. 방화벽 오픈

 

1. DB설치

CREATE DATABASE `booked`;
CREATE USER 'booked_user'@'localhost' identified by 'PASSWORD';
CREATE USER 'booked_user'@'127.0.0.1' identified by 'PASSWORD';

GRANT ALL on booked.* to 'booked_user'@'localhost';
GRANT ALL on booked.* to 'booked_user'@'127.0.0.1';

SET foreign_key_checks = 0;

 

2. Apache 설치

 //apache 설치
 \> sudo yum install -y httpd
...
 //apache 시작
 \> sudo systemctl start httpd

 //리부팅시 자동실행
 \> sudo systemctl enable httpd

 

3. PHP 및 모듈 설치

///////////// PHP7 설치 /////////////
sudo yum install epel-release yum-utils
sudo yum install http://rpms.remirepo.net/enterprise/remi-release-7.rpm 

sudo yum-config-manager --enable remi-php73
sudo yum install php php-common php-opcache php-mcrypt php-cli php-gd php-curl php-mysqlnd php-xml php-pear php-pdo

sudo systemctl restart httpd

sudo vi /var/www/html/phpinfo.php

<?php
phpinfo()
?>

브라우져에서 http://SERVER-ADDRESS/phpinfo.php로 확인

 

4. 방화벽 해제

\> sudo vi /etc/selinux/config

SELINUX=disabled 로 변경.

 

5. 소스 배포 및 권한변경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var/www/html에 배포한다.

sudo chown -R apache:apache /var/www/html

//tpl, tpl_c는 아래와 같이 권한을 변경
//설치과정에서 권한오류가 발생한다면 777변경 후 설치완료 후 755로 변경한다.
sudo chmod 755 tpl
sudo chmod 755 tpl_c

 

6. 설치스크립트 진행

http://SERVER-ADDRESS/Web/install/ 페이지에서 설치 진행

 

 

 

 

 



사용하던 갤럭시 이온 노트북(NT950XCJ)의 기존 512GB SSD 용량이 부족해서 SSD를 추가하게 되었다.

어떤 모델로 구매할까 생각하다 얼마전 우연히 기사를 통해 알게된 SK Hynix SSD Gold P31 nvme 로 결정.

아무망설임 없이 최저가 구매 결제 완료.

그런데 가격비교사이트에서 SSD M.2 nvme의 를 찾아보다가 nvme가 여러개의 모델, 정확하게는 폼팩터가 존재한다느 사실을 알고나서 급 고민. 

M.2(2260), M.2(2280), M.2(22110)  뭔 차이일까?

당연히 일단 M.2 nvme는 노트북에서 당연히 호환히 될꺼라고 생각하고 고민 1도 없이 결제한것이다.

SK hynix Gold P31 NVMe M.2(2280)

결론은 M.2(2280)이 가장 일반적인 모델이라는것. 2280에서 앞의 22는 ssd 폭이 22mm라는거고 80은 길이가 80mm라는 거란다. 

왠만한 노트북은 대부분 M.2(2280)이면 사이즈 문제는 없단다.

일단 안심하고 혹시 초기모델에 대한 호환성여부와 관련 기사를 검색.

LG그램에서 일부 문제가 있었다는 기사가 검색됨. 21년 3월.

 

삼성노트북인데, 괜히 SK hynix꺼 샀나하는 생각도 들어서 구매업체 Q&A에 확인문의.

돌아온 답은 (예상했던대로) "노트북제조사 삼성이나 SSD 제조사(SK hynix)에 문의해보라" 는 별 도움안되는 내용의 답변만 받았다. 

 

다음날 물건 받고 바로 설치해보니 아무문제 없이 설치 끝.

 

SK hynix SSD도 이제 호환성문제는 대부분 해결된게 아닌가 하는 생각과 함께 결론은 삼성 갤럭시 이온1과 호환성 전혀 문제 없는것으로 결론.

 



결론 : 버전에 맞지 않는 jdbc driver 를 사용하는 경우 위와 같은 오류메시지가 발생할수 있다.

메시지의 내용이 좀 엉뚱맞아서 한참을 헤맸다. 

더 이상한것은 URL IP 끝자리가 100번인데, 1까지만 나오는점이다.

 

상황

이전에 사용하던 DB커넥션 테스트소스를 새로운 mysql db로의 접속테스트 시도하려는데, 위 제목과 같은 오류메시지가 발생.

 

dbeaver에서도 잘 되고, myslq server에 들어가서 상태를 체크해봐도 이상없는데...

pom.xml의 jdbc driver 버전을 올려주었더니 바로 OK ㅠ.ㅠ;;;

 

그런데 이게 왠만큼 버전차이가 발생하면 이상이 없는듯하다.

구 소스에서 사용하던 드라이버 버전이 mysql 5.1.9 버전이었고, 접속하려는 DB의 버전은 8.0.x였다.

드라이버 버전을 5.1.49버전에서 멀쩡하게 돌아가는것으로 보아 해당 버전사이에 어떠한 업데이트가 있었던듯하다.

 

가급적이면 접속하려는 서버의 버전과 맞춰서 사용하자.

 



« PREV : 1 : 2 : 3 : 4 : 5 : ··· : 128 : NEXT »